추억그리고 현실

미루나무와 아버지

소순희 2022. 8. 28. 22:58

                       <미루나무 풍경/소순희작/유화>

 

          미루나무와 아버지

                                 

내가 태어나기 전 땅 한 평 갖지 못한 아부지는 땅찔레와 자갈이 태반인

척박한 범벌 자갈투성이 땅을 일궈 밭을 만드셨다. 그 곳은 들 패랭이와 할미꽃, 가시 땅찔레가 지천이었고 

봄엔 종달새(노고지리)가 머리카락 같은 풀 뿌리를 물어다 동그란 집을 지어 새끼를 길러냈다.

모든 생명가진 가장은 책임 의식과 보호 본능을 기본으로 삼고 가는 것이 본질상 신의 뜻이지 않는가!

아부지가 개간한 물 빠짐이 좋은 모래땅 밭은 거둬 낸 자갈이 자연스레 둑을 만들 정도였으니

얼마나 많은 자갈을 골라냈을까.

땅이 한 뼘씩 늘어 날 때마다 소금 절인 굴비 같은 아부지의 등과 무딘 손가락 마디는 돌 같이 굳어져도

내 땅이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기쁨이었으랴. 그렇게 아부지는 청춘을 그 땅에 묻으셨다.

봄이오면 고구마 순을 심고 어머니는 무명베를 짜기위해 반은 목화를 심었다.

가장자리엔 땅콩을 심었는데 모래땅에서 잘 자라는 작물들이었다.

 

 내가 여섯 살쯤 아부지는 이른 봄 나를 데리고 밭에 가서 큰 미루나무 가지를 잘라 밭둑에 꺽꽂이(삽목)를 하셨다.

(식물의 잎이나 줄기를 잘라 번식시키는 암수 교배 없이 무성생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이 방식이다.)

약 1m 간격으로 총총히 삽목하며 밭 가에 울타리를 만든 경계가 확실해지며 새잎이 피는 미루나무는

속성수가 되어 바람이 불 때마다 후르르후르르 푸른 소리를 냈다.

초등학교 3학년 때 어머니는 세 살 터울의 여동생 밑으로 아이를 가지셨고 어느 여름날 몹시도 배가 아프다며 

아부지 등에 업혀 논둑길로 면 소재지에 가 버스를 타고 읍내 병원으로 가다 차 속에서 사산아를 출산하셨다.

큰어머니가 아이를 받으셨다. 그리고는 동네에 소문이 퍼졌다. 인물이 훤한 사내 아이였다고... 

나는 생면부지의 이름도 달아보지 못하고 죽은 동생이 늘 어린 마음 속에 와 함께 놀아주는 상상을 했다.

어머니는 밭에 풀을 매고 나는 이쁜 조약돌을 주워 동생이라고 여겨 함께 놀다 저녁 무렵이면

미루나무 밑에 몇 개의 돌로 감싸 그를 숨겨두었다. 어쩌면 근원적 애니미즘의 발로였을까?

그러면서 고무신을 벗고 들어 선 밭은 늘 부드러운 감촉으로 나를 이끌었다.

모래땅에서 잘 자란 고구마를 캘 때는 학교에 가지 않고 일손을 도왔다.

하기야 공부보다는 잘 뽑히는 모래땅 고구마 캐기가 재미났지만, 고구마 전분이 묻은 손바닥의 검은 얼룩은

좀처럼 닦이지 않아 다음날 학교에 가면 아이들이 놀려댔다.

품종이 흰 고구마는 겨우내 우리 집 양식이 되어 참 많이도 먹었다. 앞마당과 뒤꼍 감나무에 홍시도 있었지만

달착지근한 물고구마는 내게 최고의 간식거리로 가을부터 다음 해 봄까지 내겐 주식 같은 식량이 되었다.

밭 가에 미루나무가 7~8m까지 자라 멀리서도 범벌 밭은 나무의 키로 가늠되었다.

그러던 중 아버지는 47세에 일찍 먼 길을 떠나셨고 내가 고등학교 다니던 어느 가을

자취방에서 토요일에 집에 왔더니, 누가 밭 가에 나무를 베어 갔다고 어머니가 말씀하셨다. 

어머니와 나는 휑한 그 자리를 보면서 눈물이 났다. 나무보다 아부지의 흔적이 없어짐이 못내 안타까웠다.

도벌해 간 사람은 어디에 쓰려고 했는지 모르지만, 미루나무는 재목으로도 땔감으로도 적합하지 않은데

10여 그루가 사라짐은 가장의 부재로 인한 손 쉬운 대상으로 여긴 계획적 도벌이라고 생각했다.

한 번 간 아부지는 오시지 않는데, 이듬해 그루터기에선 새순이 무성하게 올라왔다. 그리고 세월이 덧 없이 흘렀다.

그 밭도 어느 해 경지정리 구획 안에들면서 번듯한 논으로 바뀌었고 지금은 넓은 벌이 되고 말았다.

 

유월 초에 백운산에 오르는데 백운사 초입에 큰 미루나무가 세 그루 세월을 이고 펄럭거리고 있었다.

반가워 안아보는데 정말 미루나무 꼭대기에 동요에서처럼 흰 구름이 걸려 있었다.

어린 시절에 들었던 후르르후르르 푸른 소리가 환청으로 들려와 미루나무를 보면 반갑고 정겹다.

차츰 사라져가는 수종에 속한 나무는 이제 추억 속에서만 자라는 것이 아닐까 못내 아쉽다. 

 

                                                                                                      소순희

'추억그리고 현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박구리의 겨울  (4) 2023.01.12
정선에서의 하루  (14) 2022.11.08
동해두타산 베틀바위  (0) 2022.08.13
수학 여행  (4) 2022.07.20
어머니와 산수유  (0) 2022.03.26